폐백 : 성장한 자녀가 있으면 꼭디다 봐야 한다.
폐백,= 신랑 측에 올리는 신고식 전통적인 의미의 폐백은 신부가 시부모와 시댁 식구, 조상들에게 새 식구가 되었음을 알리는 자리에 음식을 올려 치루는 의식이다. 옛날에는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었으므로 혼례를 치르고 나서 1~3일이 지난 뒤 시댁으로 갈 때 친정어머니가 싸주던 대추, 밤, 마른안주, 포 등을 폐백음식이라고 말했다. 폐백음식에는 열매가 풍성한대추, 밤, 은행 등을 이용하며 이것은 곧 자손의 번영과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라는 의미가 담겨있으며 육포는 며느리의 허물을 덮어준다는 뜻을 지녔다. 요즘 달라지고 있는 폐백 풍속도 요즘에는 폐백음식을 전문점에 주문해 사용하며 결혼식 후 폐백실에서 간소하게 진행되는 형식적인 절차로 굳어져서 폐백 또한 예식장에 있는 폐백실을 보통 이용한다. 따라서 예식을 치르고 난 뒤나 신혼여행을 다녀온 뒤 시댁에서 정식으로 납폐의식을 행하기도 한다. 이런 요즘 풍속도에 의해 폐백음식을 가장 저렴한 것으로 구입한다는 신부도 있다. 폐백음식은 친정에서 준비해 시댁 어른들에게 인사를 드릴 때 예와 정성의 표현으로 사용되는 음식이므로 폐백 음식의 맛과 그 품격에 따라 친정의 이미지가 달라지기도 하니 폐백음식을 준비할 때 한 번 더 고심해 선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알짜 폐백전문점으로 선별해 고르기 폐백음식은 폐백례가 끝나면 신랑 측에서 집으로 가지고 가며 그 음식을 안주삼아 친지들과 혼례를 축하하는 자리를 갖게 된다. 따라서 격이 높은 음식을 준비하고픈 신부라면 신선한 재료와 손수 만든 음식을 제공하는 페백전문점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범위는 시부모에서 시댁 5촌까지 폐백례의 순서는 시부모에게 술과 안주를 올리기 전에 먼저 절을 올리는 데 수모의 부축을 받아 아버님께 두 번, 어머님께 두 번, 총 네 번의 큰절을 올린다. 절을 마친 뒤 수모를 통해 시부모에게 술과 안주를 올린다. 시아버지가 덕담을 하면서 며느리의 치마폭에 밤과 대추를 던져준다. 이렇게 시부모와의 폐백이 모두 끝나면 시댁 식구들에게 절을 올리는데 보통 5촌까지 폐백을 올리지만 요즘은 3촌까지만 올리는 경우도 있다. 항렬이 같은 형제나 사촌, 외사촌과는 맞절을 하며, 폐백 때 친정 부모님께 절을 올리는 것은 폐백의 의미를 상실한 것이며, 신랑댁 가풍을 무시하고라도 친정 부모님께 절을 올리고 싶다면 반드시 예식일 전에 시부모님께 양해를 구하는것이 말은 안되지만 그나마 이다. 그밖에 알아두어야 할 것들 폐백을 진행할 때 도와주는 사람을 수모 또는 폐백 도우미라고 한다. 폐백 절값을 사양하고자 할 때에는 수모에게 미리 귀띔해 자연스럽게 유도해 줄 것을 요청 한다.
|